UPDATED. 2024-04-25 19:08 (목)
영호남권 유실유기동물 급증…"들개화되는 시골개, 중성화 절실"
영호남권 유실유기동물 급증…"들개화되는 시골개, 중성화 절실"
  • (서울=뉴스1) 최서윤 기자
  • 승인 2021.01.21 07: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펫숍에서 사서 버리기보다 시골개 유기가 더 문제
동물판매업 등록제 시행으로 소득용 '개' 안 키워
들개 자료사진 © 뉴스1

(서울=뉴스1) 최서윤 기자 = 최근 3년간 영호남권의 유실유기동물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증가원인으로는 시골개(마당개)에게서 태어난 새끼 강아지들이 한꺼번에 유기됐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일부는 들개화돼 농가에 피해를 주고 있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개체수 조절을 위한 중성화 수술 등이 절실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21일 동물보호단체인 비글구조네트워크(이하 비구협, 대표 유영재)가 공개한 '전국 시군 동물보호센터 실태조사 및 개선활동 1차 보고서'(조사기간 2020년 7월 1일~12월 31일)에 따르면 전국 동물보호소 총 276개소 중 영호남 및 충청 지역 47곳의 실태를 조사한 결과 들개화된 시골개 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림축산식품부 농림축산검역본부 통계자료에 따르면 2018년 국내 유실유기동물의 수는 총 13만5791마리로 2017년 대비 32%가 증가했다. 2016년 대비로는 65%가 늘었다. 비구협이 해당 자료를 토대로 최근 3년간 유기동물 통계를 지역별로 세분화해 살펴본 결과 광역도시나 다른 지방에 비해 영호남권 중소 규모의 시군에서 유실유기동물 증가율이 무려 80%에 달한 것으로 조사됐다.

비구협은 영호남권의 유실유기동물 증가율이 이같이 높은 이유로 '중성화되지 않은 시골개'가 문제라고 분석했다.

47개소 시군보호소로 유입된 동물의 종류는 일반 가정견이 아닌 들개나 시골개 중성화 미비로 태어난 새끼 강아지들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개의 경우 새끼를 낳으면 많게는 7~8마리가 태어난다. 이 때문에 한번 포획을 하면 공고에 등록되는 개체수가 급격히 늘어나는 경향이 있었다는 것이 비구협 측의 설명이다.

특히 최근 영호남권 유기동물의 증가원인이 기존 유형인 펫숍에서 사서 키우다 버리는 패턴보다는 시골개들에게서 태어난 새끼 강아지들이 한꺼번에 유기된 것이라는 분석이다. 일부는 들개화돼 무리 지어 돌아다니며 지역민에 대한 신변 위협과 농가에 피해를 주고 있었다.

시골개의 새끼 강아지가 버려지는 가장 큰 이유는 지방 소도시 농가들이 더 이상 농가소득용으로 개를 키우지 않는다는 점이다. 구체적 이유로는 Δ동물판매업 등록제 시행과 단속으로 인해 재래시장에서의 판로 제한 Δ개식용 소비 감소로 인한 유통업자들의 농가에서의 구매 감소 Δ시골의 노령화로 인한 사육의 어려움 등이었다.

이 같은 이유로 이웃에서 새끼를 낳아도 아무도 가져가려 하지 않고 애물단지로 전락해버렸다는 것이 비구협 측의 설명이다.

또 골칫덩어리가 된 새끼들은 무더기로 타지역에 유기되거나 방치돼 시군보호소로 유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일부는 들개로 살아가며 자체 번식을 하고 새끼들이 또 다시 포획돼 보호소로 들어오는 등 악순환이 되풀이되고 있는 상황이다.

결국 최근 3년간 유기동물의 급증 이유가 일반 가정견보다 시골개의 중성화 미비로 인해 원치 않은 출산으로 버려지는 새끼들과 들개화로 인한 증식이 주 원인으로 분석된다. 실제 도시의 경우 유실유기동물 증가율이 한 자릿수에 그쳤다. 반면 영호남권 지방은 최근 3년간 증가율이 80%가 넘어섰다.

비구협 측은 급증하는 지방 유기동물에 대한 대책으로 '시골개 중성화 사업'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비구협 관계자는 "시골개 중성화 사업을 위한 중앙 정부와 지자체의 예산 확보가 절실하다"며 "마당개를 키우는 노령 가구에 대한 인식개선과 지자체의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2020년 유실유기동물 현황을 보면 혼종견(기타+믹스견)이 73%를 차지한다. 사진 동물보호관리시스템 홈페이지 © 뉴스1

한편 비구협은 이번 조사를 통해 시도 동물보호센터 문제점으로 Δ안락사 규정 미준수 Δ열악한 보호·환경 시설 Δ수익구조의 위탁사업 Δ담당 공무원 인력 부족 및 비전문성 Δ중성화 미비로 인한 시골개의 들개화 Δ지자체의 유기동물 문제 인식 부족 등을 꼽았다.

수익형 위탁업자는 시보조금에서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각종 편법을 사용한 것으로 드러났다. 편법 사례로는 Δ사료와 식수를 제대로 주지 않는 행위(경북 고령군 등) Δ안락사 비용을 아끼기 위해 고통사 실시(경북 의성군 등) Δ유기동물을 도살장에 되파는 행위(전북 정읍시 등) Δ유기동물이 아닌 농장개나 지인의 개를 고의로 공고 등록해 보조금을 편취하는 행위(전북 정읍시 등) 등이 있었다.



이와 관련해 비구협은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며 Δ안락사(인도적 처리) 관련 법률 개정 Δ지자체 동물보호센터의 직영화 및 위탁제도 개선 Δ현실적인 동물보호센터 예산 편성 Δ지자체 별도의 동물보호팀 신설 Δ시골개 중성화 사업 Δ동물등록제 읍·면 단위 확대 Δ동물보호센터 적정 인원 의무화 및 시설기준 상향 조정 등을 제안했다.

비구협 관계자는 "국민의 생명존중 의식이 해마다 향상하고 있는데 유기동물 숫자가 급증한다는 의미는 현재의 유기동물시스템에 상당한 문제가 있다는 것"이라며 "국가 차원에서의 유실·유기동물 제도의 재점검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조언했다.

'전국 시군 동물보호센터 실태조사 및 개선활동 보고서' 전문은 비글구조네트워크 페이스북을 통해 볼 수 있다.

동물보호관리시스템에 유실유기된 믹스견으로 올라온 고양이 사진. 해당 시스템에는 실제 적지 않은 입력 오류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사진 동물보호관리시스템 홈페이지 © 뉴스1

[해피펫] 사람과 동물의 행복한 동행 '뉴스1 해피펫'에서 동물 건강, 교육 등 더 많은 정보를 보실 수 있습니다. 독자 여러분의 제보도 기다립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